바로가기
메인메뉴로 바로가기
서브메뉴 바로가기
콘텐츠 바로가기
하단메뉴로 바로가기

진료과안내

두경부갑상선내분비외과

갑상선 건강과 '목 선' 함께 지키세요 [두경부갑상선내분비외과]

죽은 사람을 부검하면 목 앞쪽의 갑상선에 혹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더 많다는 말이 있다. 그 정도로 갑상선에 생기는 혹은 흔하다. 국내의 여러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절반 가량이 갑상선에 혹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중 5%는 갑상선암일 것으로 추정된다.

갑상선암은 자라는 속도가 느리고 다른 부위로 잘 전이되지 않는 속성을 갖고 있다. 최근에는 진단기술의 발달로 갑상선암을 초기에 발견하는 확률도 높아졌다. 또 수술 성공률도 높기 때문에 발병 자체가 크게 위협적이지 않다.
혹이 갑자기 커지거나 식도를 누를 땐 의심을

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갑상선암에 걸린 환자들이 '수술을 꼭 해야 하나', '왜 해야 하나'라고 묻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한다. 그러나 급하게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지, 영원히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. 갑상선암을 방치하면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에도 잘 듣지 않는 미분화암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.

갑상선암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는 △혹이 크거나 최근에 갑자기 커진 경우 △혹이 커져 식도나 기도를 누를 때 △혹이 있으면서 목소리의 변화가 있을 때 △혹이 매우 단단하고 혹이 있는 쪽에 림프절이 만져질 때 등이다.

일반적으로 혹의 크기가 1㎝ 이상일 때는 암의 위험이 있으므로 검사를 시행한다. 가장 유용하고 정확한 검사는 초음파유도하 세침흡인세포검사이다. 초음파 영상으로 갑상선의 혹을 보면서, 주사바늘을 꽂아 세포를 획득한 후 암세포 유무를 보는 검사이다.

하지만 혹 크기가 1㎝보다 작을 때는 이견이 존재한다. 미국학회는 5㎜ 이하는 검사 자체를 하지 않고 경과를 지켜보며, 유럽학회는 크기에 관계없이 암이 의심되면 검사를 실시하는 추세다. 의사의 철학과 환자의 상태(혹의 위치와 모양, 림프절 상태)에 따라 검사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.

# 목에 흉터를 남기지 않는 수술법
그림13-1>
현재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행해지는 내시경적 갑상선절제술은 '겨드랑이 접근법'(그림 1) 과 '양측 겨드랑이-유방 접근법'(그림 2)이 있다.
'겨드랑이 접근법'은 암이 있는 쪽 겨드랑이에 4~5㎝ 정도를 절개하고 이곳으로 카메라와 내시경 기구를 넣어 수술을 실시한다. 이 수술법은 성대를 움직이는 후두신경이나 부갑상선을 보존하기 쉽고 림프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 하지만 기존의 갑상절제술과는 접근법이 판이하게 달라 집도의가 새로운 수술법을 익혀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다.

'양측 겨드랑이-유방 접근법'은 양측 겨드랑이와 유두 주위에 1㎝ 미만 크기의 4개의 절개 구멍을 만들어 수술한다. 내시경 기구를 넣기 위해 앞가슴과 목 부위에 공기를 불어넣어 시술공간을 확보한 후에 갑상선암을 제거한다. 기존의 경부절개술을 통한 갑상선제거술과 방법이 비슷하며 수술기구 조작의 장애가 적은 장점이 있다.

이 두 가지 방법 모두 목에 전혀 흉터가 남지 않고 타인에게 보이지 않는 부위에만 작은 흉터가 남을 뿐이다. 수술 과정도 내시경수술은 육안으로 보는 것보다 3배, 로봇수술은 10배 이상 확대된 상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신경과 부갑상선 등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. 그래서 목 부위에 절개하는 수술 방법과 비교해도 수술 결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.

내시경적 갑상선절제술은 △먼저 환자에게 출혈의 요인이 없어야 하고 △5㎝ 이하의 양성종양인 경우 △세침흡입검사에서 여포성종양이나 휘틀세포종양으로 확인된 경우 △갑상선유두암의 1.5㎝ 이하이면서 주변조직과 림프절에 전이가 없을 때에 가능한다.

김정훈 교수는 "최근에는 미용적인 측면도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게 되어 갑상선암 수술에서 내시경과 로봇을 이용한 수술의 더욱 더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. 하지만 갑상선암 수술 역시 환자의 안전과 종양의 완전절제가 가장 우선되는 덕목이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수술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"고 지적했다.